반응형

애플 19

2022년 9월 15일 친 애플 성향 더버지의 애플 신제품 아이폰 14 평점

아이폰 14 시리즈 : 아이폰 13S 와 만나다. 7점 장점 더 나은 셀카 좋은 배터리 지속시간 충돌감지 기능 및 위성 SOS 기능 단점 이건 아이폰 13S 야 아직도 60Hz 디스플레이 e심 전환은 대부분 괜찮은데 일부에선 곤란해 아이폰 14 프로 시리즈 : 얼리 어답터 섬 8점 장점 다이나믹 아일랜드라는 말을 많이 하게 될거야 훌륭한 퍼포먼스 48MP 카메라의 성능 단점 AOD는 아직 좀... 다이나믹 아일랜드의 잠재력은 아직 완벽하게 구현되지 않았어 제발 카메라 샤픈 이라는 버튼을 찾아서 꺼줘 더버지 피셜 아이폰 13(9.0) > 아이폰 14 Pro(8.0) > 아이폰 14(7.0) https://meeco.kr/ITplus/36019409 버지가 어쩐일로 아이폰 점수를... 띠용... "(...)..

2022년 9월 15일 애플 신작 제품 아이폰 14 전세계에서 아이폰 가장 싼 5개국

https://www.91mobiles.com/hub/where-is-iphone-14-cheapest-to-buy-in-the-world/ 인도 매체에서 뜬 기사 당연히 달러 쓰는 미국 본토가 저렴하고 일본도 혜자 가격으로 나옴 홍콩이랑 캐나다가 그 뒤를 이을 정도로 그나마 저렴함 그리고 그 뒤를 잇는 한국... 놀랍게도 프맥 175만원 가격이 전세계랑 비교하면 상대적 혜자였던 거임 미국은 선진국들 중 거진 유일하게 VAT가 없다. VAT 즉 부가가치세는 재료매입부터 매출 발생에서 이전 단계부터 과세/공제 되는 반면 미국의 sales tax는 매출시 한번 과세고 택스 안붙는 주도 있다. 삼성 한국 광고비 많은거 요인으로 들려면 미국처럼 애플 스토어 직원들 유니폼 다입히고 그자리에서 as처리 해줘야함. ..

2022년 9월 14일 애플 아이폰 14 신제품 대비 애플 충전기 구매하는 사람들을 위한 추천글

본글은 케이블을 추천하는글 뭐 충전기 본체는 따로 구매하는거 맞음 ㅇㅇ 특정 제품을 추천한다기보다는 이런게 없는제품은 피해라 라는 취지임 1. 애플충전기 아마 제일 많이 살거라 생각함 하지만 가격대비 너무 튼튼하지않은재질 다른곳이 더 좋아서 사실 돈아끼고 오래쓸거면 정품은 구매 비추.. 2. 벨킨 벨킨 제품 추천하는이유 정품보다 저렴 정품보다 오래쓰고 짱짱함 애플공식 악세서리에도 입점해있음 MFI 인증받음 벨킨 듀라텍 추천 개좋음 그리고 무상 지원이 3~5년임 고장나면 무상교환받을수있음 꼭받아 MFI란? 아이폰을 위해만들어진 제품이라는걸 인증받았다는거 사실 이 MFI를 통과한 제품이라면 거의 인증표시를 붙은거나 다름없어 아이폰 케이블 구매할때 MFI 인증제품 인지확인하면 실패는안함 (충전기케이블이 중요한..

2022년 4월 29일 [애플] 아이폰, 드디어 셀프 서비스 수리 프로그램 시작을 발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7월 의미 있는 행정명령을 하나 발령했다. 소비자들이 전자기기를 수리해 사용할 권리를 확보할 것을 촉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 행정명령이었다. 이 행정명령은 자가 수리를 제한하는 애플 같은 전자기기 제조업체들의 관행을 불법으로 규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도 행정명령에 따른 위원회 정책 성명서를 만장일치로 승인하면서 화답했다. 정책 성명서는 FTC의 규제 집행 지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방정부 뿐만이 아니다. 현재 미국에서 소비자의 자가 수리권 보장 관련 법안을 발의한 곳만 27개 주에 달한다. 전자제품 ‘자가수리권’은 최근 IT 업계에선 중요한 쟁점 중 하나다. 애플이 소비자 권익을 위하는 기업이라서 한것도 아니고 삼성이 안할수있는것도 아님. 이미 올 하반..

스티브 잡스가 마이크로소프트 CEO 스티브 발머에게 쌍욕한 Halo 게임 사건

스티브 잡스는 1999년 맥월드 컨퍼런스에서 한 게임을 직접 소개한다. 그 게임은 바로 'Bungie'사의 Halo 잡스는 이 게임이 새로운 시대, 2000년 이후의 Mac을 빛내줄 게임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그러나 당시 Bungie 사는 미스2의 심각한 버그로 인해 전량 리콜을 결정 다만 이런 과감한 행보에 수많은 극찬과 판매량으로 이어졌으나 그 판매량에 따른 수익마저 손해를 일부 메우는데 급급했으며 결국 경영난을 막을 수 없었고 그 이유로 기존 게임들의 권리들을 팔아치우며 간신히 연명중인 상태였다. 그러나 여전히 Bungie는 Halo라는 게임의 완성을 위해서는 시간과 예산이 더 필요했다. 그리고 Bungie는 유수의 게임사들을 찾아가 자사의 인수를 제안했으나 반응은 대부분 시큰둥했고 결국 스티브..

카테고리 없음 2022.04.23

2022년 4월 19일 애플 아이폰 Vs 삼성 갤럭시 장점,단점 비교해본 구매 가이드 정보 꿀팁

[아이폰의 장 단점] [[장점]] -A1x칩의성능은 괴물급 -접사모드 승승승 -13프로 부터 드디어 120hz프로모션 지원 -카메라간 모드 전환이 부드러움 -배터리 타임 탑티어 -수동밝기가 1000니트(프로기준) 까지 올라가는 업계최고 밝기 -스피커 품질 과 음질은 탑티어 -아이폰/아이패드/맥 등의 인도어 연동성 -아이폰/애플워치/에어팟 등의 아웃도어 연동성 -애플이 직접 관리하는 "아이 클라우드"의 안전성 (삼성은 자사 클라우드->마소 드라이브로 교체) -아이폰6s를 지금까지 업데이트 시켜주는 사후관리 -12부터 마스크 착용 페이스아이디 적용으로 더 편리해진 보안해제 -전,후면 디자인의 변화가 워낙 적고,구형A1x칩의 성능,최적화가 좋아서 구형을 써도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가치하락이 적음 -프로는 수술도..

2022년 3월 26일 보안 문제로 사라진 어도비 플래쉬?? 스티븐 잡스가 막을 내린 계기는?

대부분 사람들이 보안문제로 어도비 플래시가 끝난거라 생각하지만 사실 그건 별이유가 되지 않는다 수십년간의 서비스를 이어온 어도비 플래시가 막을 내리게 된 계기를 알아보자 시작은 애플과 마소의 전쟁부터였다 지금은 애플이 좀 더 우위지만 90년대만해도 마소와 애플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정도의 격차였다 그중 가장 큰 격차가 시작된게 인터넷의 아버지라 불리는 윈도우 95의 탄생이었다 그래서 당시 애플은 마소와 경쟁이라기보단 전문형 컴퓨터라는 컨셉으로 맥북을 주력사업으로 밀었고 그 맥북에 독점 장착된 프로그램이 어도비 플래시 였다 그러니까 그당시 앱등이들은 맥북사는 이유가 어도비플래시 기능 때문이기도 했던거다 근데 어도비 입장에선 시장이 완전 윈도우 시스템으로 넘어가고 플래시기능이 대중들에게 점점 인지도가 올라가는데..

2022년 3월 22일 애플 M1 울트라 성능 논란 터무니없이 고성능 발표

애플은 M1 울트라를 발표 당시, GPU 성능이 가장 뛰어난 3090보다 더 성능이 뛰어난 것처럼 묘사하였다. 하지만 결과는 3090에는 한참 못미치는 성능을 보여줬다. 게다가 최근 핫하게 떠오르는 3D 편집 프로그램 블렌더의 경우, 3090에게 처참하게 발리는 성능으로 발표되었다 GPU만큼은 대체 무슨 근거로 3090을 이기는 성능으로 나왔다고 자랑했는지 알 수 없다. CPU의 경우도 일단 인텔은 이겼으나, AMD에겐 처참히 발리는 결과를 보여줌 몰론 다른 2D 영상쪽은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주나, 3D 작업용으로는 아직 한참 모자르다는 것을 입증함. 애플이 이번에 욕먹는 이유는 발표때 너무 터무니없이 고성능으로 발표했다는 점이다 전력 소모 대비 성능 잘 나온다를 벤치 장난질 쳐서 그럼 그래서 구라친건 ..

2022년 3월 21일 삼성 애플 기술 격차는 워치에서 체감이 심한 이유

솔직히 스마트폰은 워낙 이미 기술 고도화가 심해져서 일부 "Heavy"유저가 아니면 큰 체감이 없는건 사실임 워치 완성도가 애플이 넘사인거 같음 손목 감지 민감도 뿐만아니라 버벅임, 어플 최적화도 애플워치 압승이고 갤럭시 워치는 가끔 이유없이 폰이랑 연결이 끊기거나 하는데 애플워치는 한번도 그런적 없고, 배터리도 둘다 aod 켜놓는다고 가정시 애플워치는 하루반, 갤럭시 워치는 18시간쯤 가는듯 충전속도도 애플워치가 더 빠름 스마트 워치 입문을 애플워치로 시작했는데 갤럭시 워치 써보니까 너무 완성도 떨어지는 느낌이었음 근데 이건 그만큼 갤워치가 싸서 뭐, 그냥 퍼주기도 하고 플래그쉽 가격 쳐받고 그성능 나오는 핸드폰이 문제 애플워치 SE하고 비교해도 가격 차이 많이 나는 편인데 해당 가격대에서 상시가 10..

이슈와 논란 2022.03.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