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활의 꿀팁 정보 77

2022년 11월 24일 오늘부터 시작하는 화물연대 파업이 한국 경제에심각한 이유

오늘부터 (11월 24일) 안전운임제 지속 및 품목 확대를 위해 파업에 들어가는 화물연대 근데 현재 글로벌 경치침체, 원자재 가격 상승, 물류 비용 상승, 물가 상승이 지속되면서 한국 경제는 계속해서 하락중 특히 한국은 제조업 수출이 그야말로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나란데 수출을 못하게 되었으니 경제적 타격은 더욱 클 수 밖에 없음. 올해 연간 무역적자가 400억달러(53조 4000억)에 육박하는데 누적 무역적자가 약 400억달러를 기록한 건 1956년 무역통계가 작성된 이후 처음임. (게다가 1997년 IMF 이후 25년 만에 8개월째 적자) 한국에 있는 제조업체들은 그야말로 죽어나고 있는 중. 그 와중에 파업 을 시작했는데 현재 예상되는 피해핵은 약 2조. 지난 6월에 8일간 파업 당시 피해액은 약 ..

2022년 11월 24일 늘어나는 전세 사기 방지 집주인이 전세금 안돌려줄때 꿀팁

전세금 못받을때 무슨 소송이니 내용증명이니 아무것도모르는 초보들 많아서 알려줌 임대차법에서 임대인은 임차인이 집을 빼는 순간 돈을 줘야하는 채무가 생김 거기에 임차인의 대항력은 확정일자 + 전입신고 이므로 그냥 전입을 빼면 돈받기 전에 대항력을 잃게 되므로 임차권 등기를 쳐서 대항력을 유지하는거 결국 집주인이 계약만기에 돈을 주지 않는다 하면 법무사 찾아가서 일이십 주고 임차권 등기 박고 집을 빼면 되는거임 그럼 어떤일이 벌어지느냐 1. 이사가는 순간 전세금에 대한 지연이자 5~6프로 발생함 2. 임차권 등기 박히는 순간 그 집에 전세는 아무도 안들어옴 부동산에서 중개도 안함 니가 세입자라도 등기부 등본에 임차권 등기 박힌집에 들어가지는 않을거 아녀 그 다음에는? 보증금만 받을거면 소송할 필요도 없음 왜..

2022년 11월 22일 증가하는 부동산 사기 빌라 전세사기 예방 방지하는법

전세사기는 계약당시에는 저당권은 당연히 깨끗함. 진짜 사기는 계약이후 그 날 바로 저당권 잡아버리는게 문제지 그래서 계속 확인해야함 이후 저당권 확인되면 계약 무효라는 특약걸고 공인중개사 중개 사고시 법적 책임 강화 (중개수수료 겁나 받아먹고 사고나면 나몰라라 극혐) 제발 전입 신고 처리를 당일에 했으면 당일에 반영 좀 (현행 +1일 소요), 전입 신고는 임차인의 전세금 대항력과 관련 있기 때문에 중요함. 전세금 안돌려주는 갭투기꾼들 곤장형 및 전세금 1원도 남김없이 돌려주는거 헌법에 추가좀 (이새끼들은 그냥 노답) 월세가 젤 맘편하긴 한데 그게 안되는 현실도 존재하기 때문에 딱 이것만 신경쓰면 됨. 1. 민간임대사업자와 민간임대주택에 등록된 매물을 찾을것 : 전세사고가 임대인 바뀌면서 발생을 많이 하는..

2022년 11월 21일 포켓몬스터 스칼렛 · 바이올렛 테라 레이드 5-6성 준비 꿀팁 공략 정보

현재 테라레이드 5-6성은 어렵습니다.자시안 무한다이노로 무지성 때려치던 소드실드를 생각하면 알게모르게 당신은 욕을 먹고 있을것입니다. 일단 스토리를 제발 다깨세요 엔딩보고 나서 코라이돈이나 미라이돈을 잡으시던 타고다니던걸 쓰시던 해야합니다. 다른 포켓몬은 현재 그다지 쓸모가 없어 보입니다. 1. 공통으로 해야할 것 코라이돈 혹은 미라이돈 강제 요구 5성기준 레벨80정도 / 6성기준 레벨100을 만든다. 2. 개체값 - 은뚜껑 특훈(구 은왕관) 코라이돈 6V로 만든다 미라이돈은 공격제외 5V로 만든다 3. 특성 코라이돈 고집 / 미라이돈 조심 4. 노력치 - 최소 공격 혹은 특공 252는 맞추고 참여! 코라이돈 공격 252 / 체력 252 미라이돈 특공 252 / 체력 252 스피드 안중요함 5. 스킬배..

2022년 11월 21일 지상파 카타르 월드컵 4K방송은 집에 있는 통신사 셋톱박스로는 볼수가 없다??

KBS.SBS.MBC 지상파 3사의 월드컵 4K 방송은 집에 있는 통신사 셋톱박스로는 볼수가 없다. KBS,MBC,SBS 채널에서 UHD 라고 적힌건 죄다 원효대사 해골물 (실제 공중파 UHD의 보급율은 1%미만이라고 한다.) 지상파 UHD신호는 통신사 UHD셋톱박스들에게 애초에 쏴주질않는다는 말임. (SKB,LGU+,KT올레,SkyLife 등등...) (UHD는 방송사에서 마크를 달아서 송출했을뿐... ) 17년도에 지상파에서 4K송출 시범방송을 시작했지만, 이후 몇차례나 있었던 3대지상파 vs 3대통신사 및 케이블tv 협상은 싹다 결렬. 3대지상파에선 UHD송출을 받고싶다면, 돈을 더내라는입장. 3대통신사입장에선 유료컨텐츠에서 지상파보다 훨씬 큰 시장점유율을 강조. 결국은 재작년 협상까지조차 다 파토..

2022년 11월 최신 컴퓨터 구입 스펙 확인 - 컴퓨터 상태를 한눈에 알아보는 소프트웨어 hwinfo

컴퓨터를 구매했다면 글카온도,cpu온도, 팬속도등 전반적인 컴퓨터의 상태를 확인할수 있는 프로그램 hwinfo 설치를 추천함 (hwinfo 와 더불어 잘 알려진 hwmonitor 프로그램도 있는데 은근 정확하지 않고 hwinfo 가 시인성이 훨씬 좋고 친절함) 다운 방법은 구글이나 네이버에 hwinfo 를 쳐서 다운하면 됩니다 다운받고 실행을 하면 이렇게 뜨는데 Sensors-only 를 클릭하고 런을 눌러줍니다 (summary-only 는 cpu 몇배수인지 & 클럭이나 메모리 램타이밍 등을 보여주는건데 굳이 실시간으로 안봐도 됨) 그러면 이런식으로 이것저것 쭉 뜨는데 이제부터가 중요한데 설정에서 쓸데없는 항목들을 안보이게 하고 정리를 해줄겁니다 일단 필요없는 항목들을 마우스 드래그 우클릭 누르면 숨김 ..

2022년 가전제품 구입 꿀팁 잇섭 가전 혼수 제품 가격 비교 2232개 댓글 총 추려서 정보 정리

// 기본적인 것들 // 00. 잇섭 영상을 한번보세요. 01. 온라인으로 견적내보고 골라봐야 소용없더라구요. 직접 보니까 완전 달라짐 ㅋㅋ 02. 진짜로 돈 보다는 마음이 가는걸 선택하는게 1순위 03. 저도 성능은 다들 고만고만해서 크게 상관없었고, 디자인이 1순위였습니다 ㅎㅎ 04. 디자인에 신경안쓴다면 출시후 1년 정도 지난 제품을 구입하면 상당한 메리트가 있습니다 05. 큰 돈을 들인만큼 최대한 발품을 팔자. 06. 댓글의 90:10 비율로 LG샀다고 함 확실히 가전에선 lg직원들에게 여유로움이 느껴짐ㅋㅋㄱㅋㅋ삼성은 자신들이 뒤에 있다고 생각하는지 공격적으로 나오는데 lg는 삼성제품 얘길 꺼내도 아~ 천천히 알아보시구 결정하세요~ㅋㅋㅋ 잇섭 코멘트 > 상담받기도 엘지가 사람이 많아더 더 힘들었습..

2022년 11월 19일 고3 수능 종료 대학입학 게이밍노트북 추천목록 가성비 정리

이제 좀 놀기도 하고 게임도 해야하고, 쓸 노트북도 알아볼 친구들 많을 거라 봄살만한 모델들과 대략의 가격들을 정리해주고자 글을 씀 1. 롤, 메이플, 스타크래프트, FM, 그 외 각종 고전 및 저사양 게임용 사실 이 녀석을 게이밍에 넣는게 맞나 싶을 정도로 민망하지만 의외로 필요한 사람들에게 추천해주는 씹가성비 라인업임 상시가는 60만원 초반정도이고 특가 뜨면 여기다가 추가 가능한 8램까지 껴주고 '40후반까지도 노려볼 수 있음' 장점은 일단 화면이 17.3인치라 사실상 노트북 중엔 제일 큼(에이서 프레데터 21X 같은 거 들고와서 반박하지말자..) 최소 기준치의 300니트 72% 표준 디스플레이로서 기준을 충족해서 아주 무난하게 실내외에서 사용가능함 다만 무게나 크기로 인해 들고다니지 말거나 가방에 ..

먹히기 위해 태어난 물고기 자연산보다 양식이 더맛있다는 최상급 횟감 광어

맛좋은가?? 거의 최상급의 횟감과 고기와 매운탕맛 수율이 좋은가?? 저거보다 수율좋은 물고기는 연어밖에는 없음 양식이 되는가?? 양식 잘됨 잡기 쉬운가??? 낚시 처박기만해도 땅바닥물고기라 쉽게 잡힘 손질이 쉬운가???? 횟감중에 제일쉽고 잔뼈가 없음 늙어도 맛있는가???? 광어 10킬로급 이상은 부르는게 값 최고급 횟감이지만 양식되는 바람에 떡락 양식이 더맛남 90년초만해도 고급어종의 상징인 싯가 어종. 지금처럼 소중대 아니면 한마리 얼마 정찰이 아니고 그날그날 시세대로. 집에 귀한 손님 오신다고 노량진에 부모님 따라가서 2키로짜리 현금 18만원인가 주고 떠왔던 기억난다. 횟집에서 코딱지만큼 먹고 6만 얼마 낸 기억도. 지금으로치면 9900원짜리 광어양 정도? 그것도 되게 얇게 포떠서. 90년대초 물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