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와 논란

일본 열도에서 1950년대부터 완벽하게 사라진 일본의 영아 살해 전통 문화 마비키

에꼬로크 2022. 12. 9. 22:30



'마비키'는 일본의 영아 살해 풍습으로

 

사전적 의미는  1. 솎아 냄.     2. (江戸 시대에, 생활고로) 산아(産兒)를 죽이던 일.  이다.



일본에서는 태어난 아이를 엄마가 목을 졸라 죽이는 일이 성행했는데 이를 '마비키'라고 불렀다.

 

'솎아낸다'라는 뜻의 '마비키' 외에도 

'신에게 돌려준다'는 뜻의 코카에시 혹은 더 직설적으로 '아이 죽이기'라는 뜻의  '코고로시' 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었다. 





여러 기록들에서는 마비키의 실태를 말하고 있는데 

 

 

에도 시대 말기의 농학자 사토 노부히로의 기록에는

"가즈사국에는 에는 약 10만의 농가가 있었지만 거기서 마비키 당하는 아이의 수는 해마다 3~4만 명에 달하며데와국에서는 해마다 7, 8만이 마비키를  당하고 있다.

 

고 나오며, 당시 일본에 선교사로 있던 루이스 프로이스는 

"일본의 여성은 모두 (아기를) 기를 여유가 없다고 생각하면 모두 아기 목을 다리로 눌러 죽여버린다."

라는 기록을 남겼다. 

 

 

상황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에도 막부 중기부터는 평균 자녀수가 3명을 넘는 가구가 없었고 

 

그 이상 태어나는 아이는 부모가 모조리 죽여버렸기 때문에 메이지 유신 이후에도 모든 집에 일남일녀만 있는 마을도 존재했다고 한다.

 

 



 

물론 일본 정부도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에도 막부부터 메이지 정부까지 지속적으로 법률로 금지시켰으나 대도시에서는 몰라도 지방에서는 여전히 몰래 몰래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것은 마비키가 정부의 과도한 징세로 가난한 일본 백성들에게 일용할 양식을 축내는 '새 식구'가 부담스러웠기 때문이었다. 

 

에도 당시 일본의 세율은 동북아 국가들 중에 가장 높았고 일본 백성들 대부분은 세금과 새로운 생명을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력이 부족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도 일본은 근대화와 산업화를 위해 농촌을 착취할 수밖에 없었고 농민들은 가난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때문에 정부가 아무리 금지시켜도 가난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마비키는 근절시키는 것이 불가능했고 2차 대전 이후 혼란과 빈곤 탓에 일본 여러 곳에서 다시 마비키가 일어나게 된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이 '고토부키 산원 사건'인데 이시카와 미유키와 이시카와 다케시 부부가 버려진 아이들을 키운답시고 100명이나 넘게 굶겨 죽인 사건이었다. 

 

부부는 경찰에 체포되었지만 사람들의 반응은 버려진 아이들은 죽인다는게 당연한 것이 아니냐였으며, 미유키는 4년형, 다케시는 겨우 2년형의 처벌만을 받았다.

 

결론적으로 이 악습은 에도막부와 일본 제국 시기에도 근절시키지 못했고 

일본 열도 전역에서 완벽하게 사라진 것은 1950년대부터이다.

대마도 가보면 아예 저렇게 죽은 아이들을 기리는 사당이 존재함.. 저게 세금 때문이기도 한데 섬나라 특성상 가뭄 들면 먹을게 없어서 다 굶어 죽을 판이라서 그런것도 있다고 하더라. 흉년 든 해에 태어난 아이는 저렇게 암묵적으로 살해했다고 함. 쟤들은 정부에서 부추긴게 큼 세금만 조선급만 받았어도 저거 절대 안생김 미친듯한 세금이 제일 큼 50프로 부터 시작 조선은 10프로 부터 시작 임란때 왜군이 점령지 세율 반 깎은게 조선세율의 2배임 그러니 들고 일어나지

에도시대가 열리고 전쟁이 없어지니 태평성대의 시대라고 말하지만 실상은 세금을 통해서 지방 막부 세력을 견제함 그 과정에서 보통 생산량의 50퍼센트에서 80퍼센트까지 거둬들임 또 지방 막부 핵심 세력의 교토 거주는 다들 알거고 제일 섬득한게 에도 초기부터 200여년이 지난후의 인구수가 변동이 거의 없었다는 자료가 있었다고 하드라 그 시대상을 그린 영화가 "나라야마 발라드" 라는 영화가 있다 고려장은 기본이고 겨울이 다가오는 마을에 비가 우수수 떨어지는 추수를 끝낸 한 논에 태줄이 끊어진체 죽은 아기가 화면에 잡힘 역사를 모르는 사람은 그냥 보면 이런 미친 영화를 만들다니 하겠지만 역사를 아는 사람들은 에도시대의 일반 농민들의 삶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는 영화임. 동 시기에 그런 상황은 세계적으로 많았음 다만 문화냐 아니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냐지 교차 역사를 비교해보면 서양도 많았음 찰스 디킨스 올리버 트위스트도 그런 내용 아동 노동및 착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