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폭력 3

2022년 4월 12일 아카데미 폭력사건 윌스미스 근황 영화 짤리고 우울증 치료중

아카데미 측은 징계위원회를 열어 윌 스미스의 징계를 결정하기로 했다. 또한, 윌 스미스에게 15일 이내에 서면으로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라고 요구했다. 징계위원회는 해당 서류가 접수 된 4월 17일 이후에 진행될 예정이었는데, 후술하겠지만 윌 스미스가 4월 1일에 탈퇴함으로써 예정보다 빨리 진행됐다. 회원 자격 박탈과 아카데미 수상 취소라는 최대 수준의 징계가 거론됐다. 크리스 락은 이후 계속 침묵을 지키다가, 3월 31일 이에 대해 짧게 언급했다. 해당 사건에 대해 아직 생각을 정리 중이며, 할 말이 많지만 나중에 이야기할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크리스 락은 3월 31일 보스턴의 한 극장에서 예정된 코미디 쇼 공연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는 이 사건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은 없었다고 한다. 윌 스미스는 4..

이슈와 논란 2022.04.12

미국가정폭력반대협회 "윌 스미스 발언은 가정폭력범의 전형적 변명이다"

(마리 끌레르 기사) “흑인 여성이자 가정폭력의 피해자로서 저는 윌 스미스의 행동을 보고 큰 트라우마를 경험했습니다. 겉으로는 마치 제이다가 보호 받지 못하는 여성이고 윌 스미스는 그를 위해 나선 보호자처럼 보였습니다. 하지만 윌 스미스의 행동으로 저와 같은 가정 폭력 피해자들은 더 큰 손상을 입었습니다. 그는 상당수 가정폭력범들이 변명하듯 자신의 행동을 ‘사랑’ 탓으로 돌렸습니다. 폭력을 저지르고도 (현장에서) 피해자에게 사과 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기립박수를 받았습니다. 저는 이를 보고 그동안 얼마나 많은 힘센 남자들이 폭력을 저지르고도 멀쩡했는가를 떠올렸습니다.” “윌 스미스의 행동은 폭력을 써도 괜찮다, 어디서든 폭력으로 소란을 피워도 된다는 메시지를 세상에 던졌습니다. 긍정적인 흑인 아버지상을 ..

이슈와 논란 2022.04.03

2022년 3월 29일 윌스미스 폭력사태 미국반응으로 보는 미국식 표현의 자유의 끝

미국을 중심으로 한 영미법계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 자체가 자유주의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미국 수정헌법 1조(First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First Amendment만 따서 통칭하기도 함.)에서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극단적 금기를 제외하고는 모든 표현과 창작, 출판, 언론이 공권력의 제재를 받지 않으며, 인종차별이 극도로 기피되고 정치적 올바름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기는 하지만 독일의 국민선동죄처럼 특정 표현을 규제하고 처벌하지 않는다. 이런 금단의 영역은 스탠드업 코미디 등지에서 무한한 풍자의 대상이 된다. 군인 아버지가 충격먹고 고소했는데 표현의 자유라고 판결남 어떤 표현..

이슈와 논란 2022.03.29
반응형